# 전역 API 트리쉐이킹(Global API Treeshaking)

# 2.x 구문

Vue에서 DOM을 수동으로 조작해야 했을 경우, 다음과 같은 패턴을 본 적이 있을 겁니다.

import Vue from 'vue'

Vue.nextTick(() => {
  // DOM과 관련된 무언가
})
1
2
3
4
5

또는 비동기 컴포넌트와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을 유닛테스트를 할 때, 다음과 같은 코드를 작성했을 수도 있습니다.

import { shallowMount } from '@vue/test-utils'
import { MyComponent } from './MyComponent.vue'

test('an async feature', async () => {
  const wrapper = shallowMount(MyComponent)

  // DOM 관련 작업 실행

  await wrapper.vm.$nextTick()

  // assert를 실행
})
1
2
3
4
5
6
7
8
9
10
11
12

Vue.nextTick()는 단일 Vue 객체에서 직접 노출된 전역 API입니다. 사실, 인스턴스 메서드 $nextTick()은 편리성을 위해 현재 인스턴스가 자동으로 callback의 this context에 바인딩된 Vue.nextTick()을 감싸는 편리한 래퍼일 뿐입니다.

그러나 수동 DOM 조작을 다룰 필요가 없었거나, 앱에서 비동기 컴포넌트를 사용하거나 테스트하지 않았다면 어떻게 해야할까요? 또는 어떤 이유로든 좋지만 오래된 방식인 window.setTimeout()을 대신 사용하는 것을 선호한다면 어떨까요? 이 경우 nextTick()의 코드는 작성되었지만, 사용되지 않은 코드인 죽은 코드(dead code)가 됩니다. 특히, 킬로바이트(kb)가 중요한 클라이언트 측 컨텐스트에서는 죽은 코드가 좋지 않습니다.

webpack (opens new window)과 같은 모듈 번들러는 "죽은 코드 제거(dead code elimination)"에 대한 멋진 용어인 트리 쉐이킹(tree-shaking) (opens new window)을 지원합니다. 불행히도, 이전 Vue 버전에서 코드가 작성되는 방식으로 인해 Vue.nextTick()과 같은 글로벌 API는 트리 쉐이킹이 불가능하며, 실제로 사용되는 위치에 관계없이 최종 번들에 포함됩니다.

# 3.x 구문

Vue 3에서는 트리 쉐이킹 지원을 염두에 두고 글로벌 및 내부 API가 재구성되었습니다. 결과적으로, 글로벌 API는 이제 ES 모듈 빌드에 대한 명명된 export로만 접근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이전 스니펫(previous snippet)은 이제 다음과 같아야 합니다:

import { nextTick } from 'vue'

nextTick(() => {
  // DOM 관련된 일
})
1
2
3
4
5

그리고

import { shallowMount } from '@vue/test-utils'
import { MyComponent } from './MyComponent.vue'
import { nextTick } from 'vue'

test('an async feature', async () => {
  const wrapper = shallowMount(MyComponent)

  // DOM 관련 작업 실행

  await nextTick()

  // assertions 실행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Vue.nextTick()을 직접 호출하면, 악명높은 undefined is not a function 에러가 발생합니다.

이러한 변경으로 모듈 번들러가 트리 쉐이킹을 지원하는 경우, Vue 애플리케이션에서 사용되지 않는 전역 API가 최종 번들에서 제거되어 최적의 파일 크기가 생성됩니다.

# 변경된 APIs

이번 변경으로 Vue 2.x에서 다음 전역 API들이 변경되었습니다.

  • Vue.nextTick
  • Vue.observable (Vue.reactive로 대체)
  • Vue.version
  • Vue.compile (전체 빌드에서만 사용 가능)
  • Vue.set (compat 빌드에서만 사용 가능)
  • Vue.delete (compat 빌드에서만 사용 가능)

# 내부 도우미(Internal Helpers)

공용 API 외에도 많은 내부 컴포넌트/헬퍼가 이제 명명된 export로 내보내집니다. 이를 통해 컴파일러는 기능이 사용될 때만 import하는 코드를 출력할 수 있습니다. 다음 템플릿을 예로 보겠습니다:

<transition>
  <div v-show="ok">hello</div>
</transition>
1
2
3

다음과 유사한 것으로 컴파일됩니다:

import { h, Transition, withDirectives, vShow } from 'vue'

export function render() {
  return h(Transition, [withDirectives(h('div', 'hello'), [[vShow, this.ok]])])
}
1
2
3
4
5

이것은 본질적으로 Transition 컴포넌트가 애플리케이션이 실제로 사용하는 경우에만 import됨을 의미합니다. 즉, 애플리케이션에 <transition> 컴포넌트가 없으면, 이 기능을 지원하는 코드가 최종 번들에 표시되지 않습니다.

글로벌 트리 쉐이킹을 사용하면, 사용자는 실제로 사용하는 기능에 대해서만 "지불(pay)"합니다. 더 좋은 점은 사용하지 않는 선택적인 기능은 애플리케이션의 번들 크기를 늘리지 않는다는 사실을 알고 있기 때문에, 향후 추가 핵심 기능에 대한 프레임워크 크기의 우려가 훨씬 적어졌습니다.

Important

위의 내용은 트리 쉐이킹 가능한 번들러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ES 모듈 빌드(ES Modules builds)에만 적용됩니다. UMD 빌드는 여전히 모든기능을 포함하고 Vue 전역 변수에 모든 것을 노출합니다. (컴파일러는 import 대신 전역에서 API를 사용하기 위한 적절한 출력을 생성합니다).

# 플러그인에서 사용법

플러그인이 영향받은 Vue 2.x 글로벌 API에 의존하는 경우, 예를 들어:

const plugin = {
  install: Vue => {
    Vue.nextTick(() => {
      // ...
    })
  }
}
1
2
3
4
5
6
7

Vue 3에서는 명시적으로 import 해야합니다:

import { nextTick } from 'vue'

const plugin = {
  install: app => {
    nextTick(() => {
      // ...
    })
  }
}
1
2
3
4
5
6
7
8
9

웹팩과 같은 모듈 번들을 사용하는 경우, Vue의 소스코드가 플러그인에 번들로 포함될 수 있으며, 예상치 못한 경우가 더 많습니다. 이를 방지하는 일반적인 방법은 최종 번들에서 Vue를 제외하도록 모듈 번들러를 구성하는 것입니다. 웹팩의 경우 externals (opens new window) 구성 옵션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 webpack.config.js
module.exports = {
  /*...*/
  externals: {
    vue: 'Vue'
  }
}
1
2
3
4
5
6
7

이것은 Vue 모듈을 번들이 아닌 외부 라이브러리로 취급하도록 웹팩에 지시합니다.

선택한 모듈 번들러가 롤업(Rollup) (opens new window)인 경우, 기본적으로 롤업은 절대 모듈 ID(이 경우 'vue')를 외부 종속성으로 취급하고 최종 번들에 포함하지 않으므로, 기본적으로 동일한 효과를 무료로 얻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번들링 중에 “외부 종속성으로 vue 처리 중(Treating vue as external dependency)” (opens new window) 경고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는 external 옵션으로 억제할 수 있습니다:

// rollup.config.js
export default {
  /*...*/
  external: ['vue']
}
1
2
3
4
5

Deployed on Netlify.
Last updated: 12/20/2020, 2:33:30 PM